--------------------------------------------------------------------------------------------------------------------------------------------------------------------------------------------------------------------------------------------------------------------------------------------------------------------------------------------

연금, IRP에서 뻔한 것만 담다보니 ISA나 일반 계좌에 ETF가 20개가 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이 매우 핫하면서도 저렴하다고 해서 1년 정도

연금, IRP에서 뻔한 것만 담다보니 ISA나 일반 계좌에 ETF가 20개가 넘기도 하나요

cont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이 매우 핫하면서도 저렴하다고 해서 1년 정도 전에 소액이지만 일단 계좌를 만든 주린이 되겠어요. 제가 가장 먼저 만든 계좌는 IRP계좌인데요, 월 적립 소액으로 하고 있네요, 미국 성장주 지수와 미국 배당성장 ETF를 기본으로 자산 배분을 위해 미국 중기 국채와 장기 국채, 그리고 금을 일부 섞는,, 실질적으로 모든 자산을 미국에 투자하는 계좌 되겠어요.그리고 이후 연금저축 계좌를 만들었는데요, 이게 사실 하다보니 IRP와 사실상 동일한 구성이 되더라고요, 미국 성장주 지수 및 배당성장 ETF에 자산 배분을 위해 미국 중기 국채, 그리고 미국 장기 국채, 나머지 금을 또 일부 섞어 주려니 완전 똑같아 지길래 일부러 금 대신 미국 리츠를 넣어 좀 다르게 구성했지만,, 궁극적으로는 금을 미국 리츠로 바꾼 것 제외하고는 결국에는 IRP와 동일하게 모든 자산을 미국에 투자하는 계좌가 되었어요.그런데 이렇게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운영하다보니 두 계좌 모두 종목이 비슷하고 뻔하다 보니 재미가 없더라고요, 중간에 매도할 것도 아니고 계속 모아만 가니 손맛도 안나고요.그래서 일부러 좀 다르게 해보고 싶은 생각에 다른 증권사에 부랴부랴 연금저축 계좌를 추가로 하나 더 만들었고요, 일부러 좀 다르게 연금저축 계좌를 운영하고 싶어,, MSCI 선진국과 미국 빅테크 ETF를 중심에 넣고 나머지 자산 배분을 위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미국 채권에 금 또는 미국 리츠를 섞어주고 있어요,그런데 비록 미국 성장주 지수나 배당성장 ETF를 MSCI선진국과 미국 빅테크로 바꾸긴 했지만 그렇다고 매도할 것은 아니기에 손맛은 여전히 안나더라고요,그래서 알아보니,, ISA에서는 국내 상장 해외 ETF를 하면 좋은데 매수 매도가 자유롭다 하여,, ISA를 부랴부랴 만들고 기존 연금에서 하던 뻔한 것들 말고 좀 자극적인 것들로,,, 그러니까 호기심 가득한,, 평소 하고 싶었던 것 부랴부랴 막 매수 했거던요,,기본적으로 미국빅테크TOP10에 미국AI테크에 미국소프트웨어, 거기다 가능하면 액티브 지양하는데 또 보다보니 괜찮아보이는 수수료 비싸지만 성과가 괜찮을 것 같은 그런 글로벌 액티브ETF에, 미국원전도 미국전력설비도 미국반도체도 워낙 핫하다보니 안섞을 수가 없고,,,미국휴머노이드도 빼면 섭하고 미국하면 또 의료가 강하니 바이오나 의료AI로봇도 넣고,,하다보니 죄다 미국 혹은 미국이 주류인 글로벌 뿐이라,, 나름 핫한 중국의 CSI도 과창판도 항셍도 넣고,, 아베노믹스에 대한 기대감 가득한 니케이까지 섞어주니 ISA 계좌 내 ETF 종목이 20개가 넘어가는데요,국내향 ETF는 일반 계좌에서 연금이나 ISA 계좌에서는 죄다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ETF만 하고 있고요,,하다보니 구성이 이렇게 되었는데,, 제가 봐도 좀 아닌 것 같은데,,, 제가 뭔가 잘못하고 있는거겠죠?연금의 답답함과 재미없음을 ISA를 통해 막 풀어제끼는 느낌인데,,사실 일반 계좌에서는 소위 핫한 국내 ETF카테고리를 담다보니 여기는 가짓수가 30개가 넘어가네요, ㅠㅠ

개인마다 투자방식은 다를수 있고요 해보면서 수익이 좋은것만 나중에 추려도 되니 우선은 투자를 해보세요

우리가 창업을 해서 음식을 만들때 메뉴를 처음에는 10개 하다가 그중에서 잘나가는 몇개만 전문점으로 장사를 하기도 하지요 그래서 너무 여러개 하다가보면 연간 수익율이 떨어지기 쉽죠 그래서 수익율을 높일려면 몇좀목에 집중하는게 좋을수도 있고요 투자는 자기가 판단해야 되니 잘 알아서 하면되요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